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어 문법46

일반동사의 부정문 (현재 시제, 과거 시제)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현재 시제와 과거 시제일 때 일반동사의 부정문 만드는 법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동사 부정문 (현재 시제) 현재 시제일 때 일반동사의 부정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어가 몇 인칭인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주어가 1인칭, 2인칭, 3인칭 복수형 일 때는 do not(don't) + 동사원형으로, 3인칭 단수일 때는 does not(doesn't) + 동사원형으로 써주면 된답니다. do나 does는 조동사이기 때문에 조동사 뒤에는 항상 동사원형이 와야 된다는 사실 기억해주세요. I drink tea. 나는 차를 마신다. → I don't drink tea. 나는 차를 마시지 않는다. (부정문) (주어 I는 1인칭 단수이기 때문에 조동사 don't를 사용하고 동사원형인 dr.. 2022. 3. 22.
일반동사의 현재형 - 3인칭 단수 형태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일반동사의 현재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일반동사의 개념을 다시 한번 복습해보겠습니다. 일반동사는 동사의 한 종류로써 be동사와 조동사를 뺀 나머지 동사를 의미하며, 주어의 상태나 동작을 나타내는 말로 read, like, work, do, have 등이 있습니다. 이 일반동사는 주어가 3인칭 단수이며 시제가 현재시제일 때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형태가 변합니다. -s를 붙이는 경우 대부분의 일반동사는 현재시제이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동사에 -s를 붙여주면 됩니다. I eat an apple every morning. 나는 매일 아침 사과를 먹는다. → 주어 I는 1인칭 단수이며 시제는 현재시제이기 때문에 동사의 원형인 eat을 사용합니다... 2022. 3. 22.
There is / There are의 평서문, 부정문, 의문문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be동사를 이용한 문장 형태중 하나인 There is / There are의 평서문, 부정문, 의문문에 대해 배워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There is / There are 평서문 There is / There are는 '~이 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there은 '거기에'라는 의미로 해석하지 않고, 사물, 사람 등의 존재를 나타냅니다. There is / There are 문장에서 주의할 점은 문장 맨 앞에는 부사인 there이 오고, 그다음에 be동사, 주어 순서로 문장이 이루어집니다. 'There + be동사 + 주어'의 문장 순서를 기억해주세요. 또,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를 시켜주기 위해서 There is 뒤에는 단수 명사가, There are.. 2022. 3. 21.
be동사 #2 (be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be동사 포스팅에 이어서 be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be동사의 부정문 be동사가 있는 문장을 부정문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be동사 뒤에 'not'만 붙이면 된답니다. be동사의 부정형의 뜻은 '~이 아니다, ~이 없다'가 됩니다. 아래 표로 be동사의 부정형과 부정형의 축약형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때 축약형은 두 가지 방법(be동사와 not을 축약하는 경우, 주어와 be동사를 축약하는 경우)으로 축약이 가능하다는 사실 기억해주세요. 인칭대명사 be동사의 부정형 축약형 I am not - I'm not You are not You aren't You're not He is not She isn't She's not She He isn't He's not.. 2022.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