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카테고리336

상관접속사 의미/종류/수일치 안녕하세요, 오늘은 접속사의 한 종류인 상관접속사의 의미와, 종류, 수일치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관접속사란? 상관접속사는 두 단어가 짝을 지어서 하나의 접속사의 역할을 하는 접속사입니다. 상관접속사의 종류 both A and B: A와 B 둘 다 not only A but also B: A 뿐만 아니라 B도 B as well as A: A 뿐만 아니라 B도 either A or B: A와 B 중 어느 하나 neither A nor B: A도 아니고 B도 아닌 not A but B: A가 아닌 B 상관접속사의 수일치 both A and B: 복수 취급 not only A but also B: B에 일치 B as well as A: B에 일치 either A or B: B에 일치 neither A n.. 2022. 5. 31.
빌런 영어로? 빌런 뜻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자주 사용되는 신조어 빌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빌런이 사실 영어 단어인 것 아셨나요? 영어 단어로 빌런이 무슨 뜻인지 먼저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어떤 뜻으로 자주 사용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빌런 영어로 빌런은 영어로 'villain'이라고 씁니다. 영어 단어 villain는 '악당'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드라마나 영화에서의 '악역'을 뜻하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이 villain이라는 영어 단어가 원어민들은 보통 어떻게 사용할까요? 미국 인기 토크쇼인 지미 팰런 쇼에서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출연 배우들과 인터뷰를 하는 동영상에서 이 villain이란 단어가 사용이 되었는데요. 어떻게 사용이 되었는지 그 영어 문장을 아래에서 확인해봅시다. Jimmy.. 2022. 5. 30.
5형식 사역동사 let, make, have / 준사역동사 get, help의 목적격 보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5형식 문장에서 사역동사 let, make, have와 준사역동사 get, help의 의미와 목적격 보어의 형태에 대해 배워보려고 합니다. 사역동사란? 사역동사에서 '사역'은 한자어로 '부릴 사'와 '부릴 역'을 쓰고 있는 단어인데요. 즉, 사역동사 let, make, have는 '~하도록 시키다'의 뜻을 가지고 있는 동사입니다. 사역동사는 영어 문장의 5형식 구조에서 사용을 하는데요. 다시 복습을 해보면, 영어 문장 구조에서 5형식 문장은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 목적격 보어(O.C)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통은 사역동사 뒤에 나오는 목적격 보어는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ex) I made my son clean his room. 나는 아들에게 그의 방을 청소하.. 2022. 5. 26.
5형식에서 to 부정사를 목적격보어로 취하는 동사 안녕하세요, 오늘은 5형식 문장에서 반드시 to 부정사를 목적격보어로 취하는 동사들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5형식이란? 영어 문장 형식 중에 5형식 문장은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 목적격보어(O.C)로 구성이 되는 문장입니다. 여기서 목적격보어는 앞에 있는 목적어를 보충 설명해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목적격보어(O.C)의 형태는 앞에 나온 동사(V)에 따라 달라진답니다. 오늘은 목적격보어 자리에 반드시 to 부정사를 써야 하는 동사들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목적격보어 자리에 to 부정사를 쓰는 동사들 want 원하다 advise 충고하다 allow 허락하다 ask 요청하다 cause 일으키다 enable 할 수 있게 하다 encourage 권장하다 expect 기대하다 tell 말하다 .. 2022. 5. 25.
반응형